동명NEWS
-
- 작성자유승태
- 작성일18.03.22
- 조회수5139
-
- 작성자유승태
- 작성일18.03.20
- 조회수5391
-
- 작성자유승태
- 작성일18.03.19
- 조회수5356
-
실용학문 교육 확대 위해 '실무 경험' 많은 교수 채용 확대할 것 4차 산업혁명 시대…빈부격차, 인간성 파괴 대비해야 정홍섭 동명대 총장이 이 대학에 부임한 지 1년이 다 돼간다. 그는 교육계의 ‘대부’답게 자신만의 뚜렷한 철학을 가지고 동명대를 바꿔나가고 있다. 특히 취임사에서 “산학협력을 통한 실용교육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힌 바대로 취임 이후 105개 산업체와 신규 MOU를 체결하기도 했다. 국제화역량 강화도 정 총장의 목표 중 하나다. 1년도 채 되지 않았는데 벌써 국제협약 47건을 추가로 성사시켰다. 정 총장은 이 대학 총장직을 맡게 된 걸 ‘운명’이라고 말했다. 정 총장은 이미 신라대에서 8년 동안 총장을 역임한 바 있고, 노무현정부 시절에는 장관급인 교육혁신위원장까지 지냈다. 은퇴 후 산속에서 된장을 담그며 홀연히 살던 그에게 또 한 번의 기회가 찾아왔다. 정 총장은 “처음에 이사회에서 제안이 왔을 때는 급변하는 위기의 시대에 대학을 제대로 운영할 수 있을지 확신이 없었다”면서도 “이 또한 인연이라고 생각해 총장으로 오게 됐다”고 전했다. 정 총장과 동명대의 특별한 인연이 어떻게 시너지 효과를 내고 있는지 들어봤다. - 동명대는 ‘산학협력’ 특성화 대학을 추구하고 있는데, 상징적인 프로그램은 어떤 게 있나. “우리 대학은 동명목재라는 부산의 향토기업이 세운 대학이다. 설립자에 뜻에 따라 다양한 지역 기업과 협력하는 것을 강조해왔다. 우리 대학과 협력 중인 가족회사만 900개에 달한다. 한국에서 기업과 이렇게 밀접한 네트워크를 형성한 대학은 우리 대학이 유일할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산학협력 융합학기제’를 운영 중이다. 현장실습과 이론교육 프로그램을 병행해 진행한다. 학생 중 일부는 아예 현장에서만 공부를 하기도 한다. 또 산업체에서 우리 학교에 와서 강의도 많이 한다. 특히 우리 대학은 ‘더블멘토링’이라는 제도를 시행 중이다. 학생 3~4명이 한 팀이 돼서 교수와 기업체 중견 기술사 및 사원으로부터 지도를 받는다. 이렇게 진로지도를 받은 학생들이 산업체에서 성과를 내고 있다.” - 취임사에서 세계화 역량을 강화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는데. “이번 학기를 기준으로 11개국 출신 외국인 유학생 662명이 우리 대학에 재학 중이다. 같은 규모의 다른 대학에 비해 많은 편은 아니다. 유학생으로 부족한 학생 수를 채워 재정에 보탠다는 생각도 중요하다. 그러나 유학생 유치는 한국 학생들이 세계인으로서의 마음가짐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준다. 세계화 추구의 방점을 유학생 수보다는 다변화에 두고 있다. 최근에는 카자흐스탄 악토베주립대를 비롯해 우크라이나·보스니아 등 중동 및 동유럽 국가의 대학과도 교류를 추진 중이다. 우리 대학 재학생들의 국제화 역량 강화를 위해 해외 어학 연수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다. 재학생의 5~60%가 졸업 전까지 해외에서 공부할 기회를 제공받는다.” [한국대학신문 장진희 기자] “우리 대학은 설립자 고(故) 강석진 회장의 뜻에 따라 일찌감치 ‘실사구시’를 슬로건으로 내걸었다. 기업이 원하는 맞춤형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진 지금, 우리 대학은 산학협력 특성화 대학으로 앞서나가고 있다.” - 노무현정부 때 신설된 교육혁신위원회에서 위원장을 역임했다. 교대 교수로 시작해 일생 동안 교육계에 헌신해왔던 주인공으로서 한국 교육정책을 평가한다면. "한국 교육정책은 실패의 연속이었다. 지금까지 잘된 게 하나도 없다. 한국 교육 40년사를 보면, 입시정책만 하더라도 이제까지 시도해보지 않은 정책이 없을 정도다.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일제강점기식 군대 교육의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가장 큰 원인은 교육이 지나치게 정치에 종속돼서 그렇다. 교육정책은 그 효과를 보려면 적어도 10년을 기다려야 한다. 그러나 한국은 5년마다 정치권에서 표를 의식한 정책을 시행하기 때문에 매번 정책이 바뀐다. 정책 시행의 끝을 보지 못하고 선거 때마다 정책이 바뀌니 매번 새로운 것만 시도하다가 끝난다. 결국 안 해본 정책은 없지만 성공한 정책도 없다.“ - 현 정부의 고등교육정책은 어떤 점이 개선돼야 할까. “문재인정부가 ‘대학의 자율성’을 보장한다고 했는데 그 개념을 제대로 정립했는지 의문이다. 예를 들면, 교육부는 법에서 정한 등록금 한도도 올리지 못하게 재정지원으로 사실상 통제하고 있다. 등록금을 인상하지 못하게 하면 그만큼을 국가가 보전해줘야 한다. 법에서 정하는 한도도 못 올리게 하면 자율성을 억압하는 정책이다. 또 ACE와 ACE+ 사업은 이제껏 가장 성공적인 교육정책으로 손꼽힌다. 그러나 현 정부는 되레 ACE 사업이 대학의 자율성을 침해한다며 사업을 축소한다고 한다. 교수들의 교권을 침해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인데, 시대변화에 대응하려면 ACE 사업은 필수적이다. ACE 사업이 없으면 교수들은 오래된 노트를 갖고 받아쓰기식 수업만을 강요할 것이다. 일부 낡은 진보적 사고관을 가진 사람들이 ACE 사업이 자율성 침해라고 보고 있어서 문제다.” - 교육부가 잘하고 있는 정책은. “공영형 사립대, 비리사학 척결에 대한 의지, 일반 재정지원 확대 등은 높이 산다. 대학의 공공성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이다. 다만 사학 비리를 처단하겠다고 재단의 비리를 대학평가에 반영하는 방향은 옳지 않다. 비리는 비리대로 엄단하고, 대학은 교육의 질적 수월성으로 평가해야 한다.” - 2주기 대학평가인 ‘대학 역량 진단평가’가 코앞이다. 대학평가에 대한 의견도 듣고 싶다. “대학 역량 진단평가를 권역별로 하게 됐다. 만약 권역별로 평가를 하지 않고 시장원리에 맡겨 놓으면, 지방대학부터 다 무너질 것이다. 서울에만 대학이 남아 있게 될 것이고, 지방 인재 유출 현상은 매우 심각해질 거다. 현 정부가 추진하는 지역균형발전 방향에도 맞지 않다. 수도권에 있다고 다 좋은 대학은 아니다. 그런 의미에서 대학평가는 필요하다고 본다. 다만 ‘정부 재정지원 필요 없으니 대학평가 안 받겠다’고 하는 대학에는 자율성을 줘야 한다. 일부 재정여건이 뛰어난 대학의 경우 재정지원을 안 받을 수도 있다. 그런 대학에 한해서는 정부 정책을 강요하는 대학평가에서 벗어나게 해줘야 한다.” - 부산 지역만 해도 대학이 포화상태다. 동명대가 살아남기 위해 택한 전략은. “우리 대학은 산학협력을 확대하는 게 살길이라고 판단했다. 부산 지역 대학들은 스스로 축소해야 하는 상황이다. 알아서 인원 감축하면 혜택을 준다고 하니 대학 재정이 어려워졌다. 이런 상태로 2~3년이 더 지나면 사립대는 무너진다. 특히 교수의 질이 떨어질까 우려된다. 우수한 자원이 대학에서 연구를 지속하려면 재정이 풍부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다. 앞으로는 교수를 뽑을 때도 학문적으로 다듬어진 사람보다 실제 현장 경험을 가진 사람을 우대할 예정이다. 그래야만 ‘실용학문’을 실현할 수 있다.” - 신라대에서 직선제로 당선된 총장이었다. 젊은 시절 부산에서 시민단체를 이끌기도 했다. 이른바 ‘진보 성향’이 강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학내 민주화를 위해서 어떤 노력을 하고 있나. “40대의 젊은 교수 시절에는 제도적 민주주의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했다. 제도적 민주주의는 달성됐다고 본다. 전체 사회로 보면 지금의 진보주의자들은 민주주의와 효율성이 충돌하는 부분을 해결해야 한다. 학내에서는 열린 리더십을 실천하려고 노력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창의성과 자율성은 열린 리더십에서 비롯된다. 학생들은 대학에서 학문이나 기술만 배우는 게 아니다. 민주적인 대학 운영, 총장의 열린 리더십을 배우면서 민주주의를 체험한다. 우리 대학에서는 대학평의원회, 교무위원회, 인사위원회 등의 구성에 총장이 개입하지 않는다. 각 위원회의 결정을 최대한 존중한다.” - 4차 산업혁명이 한국계 교육의 화두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 “인공지능, IoT, 자율주행차 개발에는 생각보다 그렇게 신경 쓸 필요가 없다. 산업체가 살아남으려면 기술은 당연히 발전할 것이다. 그러나 인공지능의 확대로 인한 사회적 파장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가 문제다. 빈부격차 확대, 실업의 증가, 인간성 파괴, 정치적 스트레스의 가중 등을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해야 한다.” ▲ 정홍섭 총장과 이인원 본지 회장이 동명대에서 대담을 나누고 있다. (사진= 한명섭 기자) ■정홍섭 동명대 총장은 … 1947년 경북 경주 출생. 경북대 사범대학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부산대 대학원에서 교육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신라대에서 교무처장, 기획처장, 사범대학장, 교육대학원장 등을 거쳤다. 이후 신라대 총장, 부산시 교육위원회 부의장, 대통령직속 자문기구 교육혁신위원회 위원장(장관급), 한국교육학회 부회장 등을 지냈다. 지난해 6월에는 제9대 동명대 총장으로 취임했다. <대담= 이인원 본지 회장 / 정리= 장진희 기자 / 사진= 한명섭 사진부장> 라는 기사이다. 기사원문: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186748
- 작성자유승태
- 작성일18.03.19
- 조회수5174
-
- 작성자유승태
- 작성일18.03.16
- 조회수5662
-
- 작성자유승태
- 작성일18.03.15
- 조회수5431
-
- 작성자유승태
- 작성일18.03.15
- 조회수5250
-
- 작성자유승태
- 작성일18.03.13
- 조회수5188
-
- 작성자유승태
- 작성일18.03.07
- 조회수5650
-
- 작성자유승태
- 작성일18.03.07
- 조회수5605
-
- 작성자유승태
- 작성일18.03.06
- 조회수5897
-
- 작성자유승태
- 작성일18.03.05
- 조회수5459